전체 글
-
자료구조 공부 시작.알고리즘/자료구조 2019. 8. 17. 16:34
https://www.opentutorials.org/module/1335 이 강의를 참고하여 공부를 시작하려고 한다. 학교에서 자료구조 강의를 이미 들었지만 성적이 좋지않았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열심히 하지 않았었다. 그리고 그마저 군대에 다녀온후 모두 잊어버렸다. 학교에서 c로 직접 자료구조를 구현하는 실습을 많이 했었는데 자바에는 이미 collection framework가 존재한다. list, map, set등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고 각각 인터페이스의 특징을 알고 활용을 위해 클래스들을 알아야한다.
-
백준 15552 문제 (BufferedReader , 문자열분리, int-String 형변환)알고리즘/백준 문제 2019. 8. 15. 23:04
데이터를 불러올때 하드디스크등 물리적인 접촉이 많을수록 성능이 저하된다. 하지만 메모리에 생성되는 Buffer라는 임시기억장소를 이용하면 데이터를 불러올때마다 물리적인 접촉을 하지 않아도 된다. 하드디스크에 최초로 들렀을때 어느정도 크기의 데이터를 한번에 불러와서 이후에는 메모리에만 접속하면 되어 처리속도가 빨라진다고 한다. Scanner의 경우 버퍼의 크기가 1024 chars, BufferedReader는 8192 chars 이기때문에 많은 입력이 있을 경우 BufferedRead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리고 속도에서도 차이가 많이 난다. 이유는 잘 모르지만 Scanner함수가 내부적인 문제라고 하는거같다. (속도차이 참고 http://blog.naver.com/PostView.nhn?b..
-
백준 2588 문제알고리즘/백준 문제 2019. 8. 15. 02:21
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a와 b의 1의자리 수, 10의 자리 수, 100의 자리 수를 각각 변수로 미리 만들어서 우리가 곱셈을 할때 공책에 적어서 a의 1의 자리수x b의 1의자리수 + a의 10의 자리수 xb의 1의 자리수... 를 반복해주었다. 이때 각각의 자리수를 만들어줄 방법이 딱히 떠오르지 않아서, 1의 자리수를 만들땐 1. 입력받은 수를 10으로 나누어서 1의 자리수를 버린뒤 2. 다시 10을 곱한다. (ex. 123 -> 12-> 120) 그러면 1의 자리수가 버려진다. 3. 입력받은 수(123) 에서 위의 값(120)을 뺀다. 4. 그러면 1의 자리수가 만들어진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100의 자리수까지 만들어 미리 변수에 저장해주었더니 문자를 계속 집어넣어 계산하는 것 보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