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2021. 7. 11. 13:18
     

    인덱스가 무엇인지, B-Tree Index, Hash Index 등에 대해 알고있다는 가정하에 작성

    인덱스는 왜 쓰는가?

    인덱스는 '인덱스가 검색 범위를 제한시켜주기 때문에' 빠르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인덱스가 왜 어떻게 검색 범위를 제한해주나?

    인덱스는 항상 정렬이 되있기 때문에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건 특정 인덱스에 한정된 이야기다. 검색범위를 제한해주는 방법은 어떤 인덱스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B-Tree 인덱스

    • B-Tree 인덱스는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다. (장점)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삽입과 삭제시에 정렬이 발생한다. (단점)
    • 이 경우는 정렬된 상태로 검색 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는게 맞다.

    Hash Index

    • 해시 인덱스는 정렬되어 있다고 볼 수 없다.
    • 다만 해싱된 데이터 값에 따라 저장될 버킷 위치를 정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검색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동등비교(=) 에서 효과적이다.
    • 정렬할 필요가 없으니 삽입/삭제가 빠를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사용하면 좋을까?

    B-Tree의 경우 대부분의 DBMS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범위검색을 할때 유용하기 때문이다.

    • loose 인덱스 스캔
    • 다중 컬럼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해시 인덱스는 메모리기반의 테이블에 주로 사용된다. 디스크 기반 대용량 테이블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정렬된 결과를 가져올 수 없기 때문이다.

     

    버킷은 링크드리스트를 저장하는 배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버킷의 위치를 정한다는 말은 데이터를 해싱해서 적절한 배열 인덱스를 구하는 것이다.

    다른 자료구조도 많은데(레드 블랙 트리 등), B-Tree를 쓰는 이유

    다중 컬럼 인덱스에서 선정 기준

    B-Tree 인덱스의 다중 컬럼 인덱스는 컬럼 순서가 매우 중요하다. 순서에 따라 해당 인덱스를 활용하지 못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드시 왼쪽에 있는 컬럼이 사용되어야 그 오른쪽의 컬럼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럼 어떤 기준으로 순서를 정하는게 좋을까? (단일 컬럼 인덱스에도 적용되는 해당되는 이야기)

     

    Cardinality(기수성)

    카디널리티는 유니크한 값의 개수를 말한다.

    • cardinality(기수성)가 높은 컬럼이 앞에와야 검색 효율이 좋다.
    • 기수성이 높은 컬럼이 앞에오고 컬럼이 범위를 크게 줄여주고, 낮은 컬럼이 뒤에오면 필터링 조건으로 사용된다.

     

    남자이고 이름이 A로 시작하는 사람을 가져와보자.

    예를 들어 100명 중 A로 시작하는 사람은 10명, 전체 남자는 70명이다. 그리고 A로 시작하는 남자는 5명이다.

    select NAME, GENDER from EMPLOYEES where NAME like 'A%' and GENDER='male'

    • (NAME, GENDER) 인덱스 A로 시작하는 사람 10명 목록을 가져온다. 그리고 그 중 남자만 필터링 하면 된다.
    • (GENDER, NAME) 인덱스 성별이 남자인 사람을 70명 가져온다. 그 중 A로 시작하는 사람을 찾는다. => 성별로 가져온 70명 대부분이 버려진다.

     

    Selectivity (선택도)

    선택도란 얼마나 값을 잘 가져오냐를 말하는데, 1이면 유니크하다는 의미다. 20~25% 를 넘어서면 그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고 한다.

    • Cardinality의 (NAME, GENDER) 인덱스는 100명중 10명만 읽고 5명을 찾아온다. 즉 전체의 10%만 읽었다. 그 중 50% 만 필터링되었다.
    • (GENDER, NAME) 인덱스 예제를 보면 전체 100명중 무려 70%를 읽었다. 그 중 5명만 찾은거니 70명중에서도 35% 만 필터링에서 살아남았다. 비효율 적이다.

     

    활용도

    남자 10명을 이름 오름차순으로 가져온다고 가정했을 때

    이전 예제와 차이는 여기선 이름을 오름차순으로 가져온다는 것이다. select NAME, GENDER where GENDER='male' order by NAME LIMIT 10 기수성 예와 반대로 (GENDER, NAME) 인덱스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 where -> order by 순으로 진행된다.
    • 그러므로 (NAME, GENDER) 의 경우 앞선 where 절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order by 에서 왼쪽 컬럼 'NAME' 만 사용되기 때문이다. 반쪽짜리가 된다.
    • 그러나 (GENDER, NAME) 의 경우 where 에서 성별을 -> order by에서 이름 순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지정한 인덱스의 컬럼을 모두 사용**한다. 또 SELECT NAME, GENDER 이므로 커버링 인덱스가 사용되어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GENDER, NAME) 이 인덱스가 얼마나 활용될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 한다. 이 인덱스는 이름순으로 특정 성별을 찾는 아주 특정한 케이스에만 활용될 수 있다.

    인덱스는 곧 디스크 용량을 차지하고 메모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크기가 큰 테이블인데 활용도가 떨어지면 굳이 이 인덱스(GENDER, NAME)을 쓸 필요는 없을 것 같다.

    • NAME 만 조건으로 사용될 때도 활용되지 못하고, GENDER 만 조건으로 활용할 경우 선택도가 50% 인데, 이 경우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는 편이 낫다.

     

    (NAME, GENDER) 각각의 케이스 생각

    남자 10명을 이름 오름차순으로 가져온다고 가정했을 때

    BEST

    Aaaa - Male Aaab - Male Aaac - Male ... 이런 식으로 성별이 연달아 남자만 나오는 경우. 10건만 읽으면 된다.

    WORST

    이름순 상위 50명이 모두 여자인 경우. Aaaa - Female Aaab - Female Aaac - Female ... 옵티마이저가 인덱스를 정방향으로 읽을지 역방향으로 읽을지 결정할 수 있다.

    • 그래서 만약 Z로 시작하는 남자 10명을 찾는 거라면 역순으로 읽으면 10건만 읽으면 된다.
    • 그런데 이 경우는 이름은 정방향, 성별은 역방향이기 때문에 최악의 케이스다.

    MySQL8 버전은 내림차순 인덱스도 지원을 해서 (NAME ASC, GENDER DESC) 같은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 그러나 이렇게 했을 때 과연 최악의 케이스가 해결이 될까?
    • 만약 남자 10명이 아니라, 이번엔 여자 10명을 찾는다면? 똑같이 최악의 케이스가 나온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